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프로그래밍

(21)
3. matplotlib 범례 표시하기 지난 글에서는 축의 이름, 폰트, 위치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했다. ​ 이번 글은 범례를 다룰 것이다. ​ 범례는 그래프를 표시하는 텍스트이다. 좌표축에 여러개의 그래프를 표현할 때는 구분이 필요하다 이때 등장하는 것이 바로 범례이다. 위에 표에서는 'line1'이른 범례가 표시되어 있다. plt()함수안에 label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이름을 설정해주고 legend()함수로 표현했다. legend()함수가 볌례를 표시해준다. ​ legend()함수 안에 loc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범례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튜플를 이용하여 위치를 입력하는데 (0,0)은 왼쪽하단, (1,1)은 오른쪽 상단을 의미하며 튜플 말고 'lower ri ght'와 같은 문자열로 입력할 수 있다. ​ 두 개이상의 그..
2. matplotlib 축 레이블 설정하기 저번 글에서는 matplotlib.pyplot에서 plot 함수를 이용하여 그래프를 표현했다. ​ 이번 글에서는 그래프의 축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할 것이다. 다음과 같이 축의 이름을 설정할 수 있다. xlabel(), ylabel() 함수는 축의 이름을 설정하는 함수이다. 괄호에 설정하고자 하는 label을 입력하면 된다. xlabel(), ylabel() 함수 안에 labelpad파라미터를 입력하여 여백을 생성할 수 있다. pad는 여백(padding)을 의미한다. fontdict 파라미터를 이용해 폰트를 설정할 수도 있다. ​ 또한 loc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파이썬으로 데이터 시각화하기
1. matplotlib 기본 matplotlib.pyplot은 간편하게 그래프를 만들고 변화주는 모듈이다. 다음과 같이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다 plt.plot([1,2,3,4])에서 리스트([])안에 들어가는 값은 y값을 의미하고 x값은 0부터 차례대로 생성된다. plot()함수는 그래프를 생성 show()함수는 그래프를 보여준다. 다음과 같이 리스트를 두 개 입력하게 되면 차례대로 x값, y값으로 인식되어 그래프가 만들어진다. 그래프를 실선 이외에 점선으로도 그릴 수 있다. 'ro' 는 red와 o(원형)의 합성을 의미한다. 'b-'는 blue와 -(실선)을 의미한다. axis()함수는 [x 최솟값, x 최댓값, y 최솟값, y 최댓값]을 의미한다 matplotlib.pyplot는 numpy 어레이를 주로 이용한다. np.arr..
JavaScript.1 웹을 만들기 위해서 HTML과 CSS언어를 배웠다. HTML은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 CSS는 웹을 디자인하는 역할을 하였다. 하지만 웹은 쌍방향이다. 방문자에 반응할 줄 알아야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JavaScript를 알아야한다. JS는 HTML과 CSS라는 달리 동적이다. 1+1을 입력하면 웹에는 2가 나온다. 웹브라우저에서 발생하는 일을 우리는 이벤트라고 부른다. 컴퓨터는 여러가지 이벤트들을 인지하고 있는데 우리는 이 이벤트를 이용해서 방문자와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
CSS.9 web을 만들기 위해서는 여러개의 파일을 만들고 수정해야한다. 만약 한가지 효과를 추가를 했는데 10개의 파일이 있다면 10번을 수정해야한다. 100개의 파일이 있다면 100번을 수정해야한다. 이 지겨운 반복을 없애기 위해 우리는 link라는 문법에 대해 알아보자. 먼저 효과를 주는 style 태그를 따로 파일에 저장한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style태그는 빼고 따로 저장해야한다. 그리고 link를 이용해서 style.css파일에서 효과를 가져오라는 명령을 한다. 이렇게 하면 반복되는 상황을 줄여줄 수 있다. 효과를 바꾸고 싶으면 style.css파일로 돌아가 한번만 바꿔주면 되기 때문이다. '코딩을 잘하고 싶으면 반복되는 상황을 줄여주면된다.' + 모든 CSS 글은 '생활코딩'님의 영상을 보고 ..
CSS.8 이번글에서는 새로운 개념에 대해 알아보자. 지금까지는 반응에 대응하지 않는 디자인이었다면 이제는 대응하는 디자인을 해볼 것이다. 화면의 크기에 따라 태그가 사라지거나 보여질 수 있는 것을 해보겠다. 여기서 새로운 개념이 등장한다 '미디어 쿼리' 미디어 쿼리는 우리가 하려는 반응형 디자인을 도와준다. 미디어 쿼리를 이용해서 web의 크기가 최소 800px이면 (800px 이상이면) 안보이게 했다. 반대로 최대 800px(800px이하이면) max-width:800px로 안보이게 할 수 있다.
CSS.7 저번글에서 배운 grid를 활용해보자 grid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태그들을 잘 묶어야한다. (레이아웃을 적절하게 설정해주기 위해) 박스모델때 처럼 우리가 원하는 것을 활용해주면 된다. 먼저 div 태그를 사용하여 적절하게 묶어준다. grid를 이용하고 paddind을 이용하여 화면을 적절하게 조절한다. 끝!
CSS.6 이번시간에는 grid라는 기술에 대해 배울 것이다. 먼저 새로운 태그를 알아보자. 우리가 배운 h1, li 태그들은 다 의미가 있는 태그들이었다.(제목,목록 등) 하지만 의미가 없는 태그를 사용하고 싶다면? div태그를 사용하면 된다. div태그는 아무 의미가 없으면 단순히 디자인 용도(예쁘게 보이기 위해)존재한다. 또한 block level element(줄바꿈이 가능)이기 때문에 용도에 따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div태그처럼 의미가 없지만 inline element를 원한다면 span태그를 이용하면 된다. 그리고 div태그들을 하나의 박스로 다시 묶고 싶다면 부모태그를 이용하면 된다. 이제 그리드에 대해 알아보자. 그리드는 파워포인트의 레이아웃이라 생각하면 될 것 같다. grid-t..

반응형